학명 Lyonetia / prunifoliella
목/과명 나비목 / 굴나방과
과거에는 '은무늬가는나방 라고도 불리웠는데, 성충은 몸이 대체로 은빛 광택을 띠며 작고 연약한 나방이다.
성충은 여름형과 가을형으로 체색에 변이가 있는데, 대체로 가을형이 짙은 무늬를 가지고 몸의 크기도 약간 더 크다.
앞날개는 가늘고 길며 끝 부분은 뾰족하게 돌출하였으며, 1개의 흑색 원형반점이 있다.
또한 그 반점의 바로 앞쪽 주변에 반달모양의 현저한 분홍색 얼룩무늬와 그 앞쪽으로 3개의 황갈색을 띤 얼룩무늬가 있으며, 날개 끝부분에 V자형의 뚜렷한 짙은 황갈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갈색이며, 앞날개, 뒷날개 모두 바깥 가장자리에 길고 가느다란 털이 무수히 나있다.
알은 우유빛을 띠고 둥글며, 유충은 황갈색 또는 연두색이고 배 끝이 가늘며 몸의 각 마디 사이가 잘록하게 구별되고 몇 개씩의 긴 털이 나 있다.
번데기는 암갈색의 원추형인데 머리에 1쌍의 돌기가 있으며, 거미줄 모양으로 만들어진 흰색의 고치 속에 들어 있다.
성충의 몸길이는 4.5㎜, 날개를 편 길이는 여름형이 8~9.5㎜, 가을형 9.5~10.5㎜이다. 노숙유충은 5㎜이다.
연 6회 발생하며, 나무의 껍질 틈새, 가지사이, 낙엽 밑, 사과원 주변 건물의 벽면 등에서 주로 암컷 성충으로 월동한다.
가을철 늦게 발생한 개체들은 드물게 번데기 상태로 월동하기도 한다.
월동한 암컷 성충은 4월 하순~5월 상순경에 사과나무의 어린잎 뒷면의 조직 속에다 1개씩 점점이 알을 산란한다.
부화한 유충은 잎의 표피 속에서 불규칙하게 넓적한 굴을 뚫으며, 잎살을 파먹고 자라는데, 초기에는 줄 모양으로 굴을 파면서 가해하다가 점차 넓게 부정형으로 확장한다.· 잎에 만들어진 굴 속에서 3령을 경과한 후에 다 자라난 노숙유충이 된다.
그 후 굴 밖으로 나와서 입에서 실을 토해내어 나뭇잎 뒷면에 거미줄 모양의 하얀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다시 4일 정도 지나면 성충으로 우화한다.
따라서 5월 하순부터 새로운 성충이 다시 출현하기 시작한다. 그 이후 약 한 달 간격으로 성충의 발생주기가 계속되지만 때때로 세대가 중첩되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성충은 한낮에는 나뭇잎 뒷면 등에서 활동을 하지 않고 주로 휴식을 취하고 있다가 일몰이 시작되면 활동을 개시해서 활발하게 분산하기도 하는데, 특히 불빛에 잘 유인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발생하는 제 6회 성충은 9월 하순~11월에 우화하여서 주변의 월동처를 찾아서 휴면에 들어간다.
사과나무의 새로 나오는 신초의 잎을 햇빛 쪽을 향해 비추어서 잎 윗면에 붉은 점이 찍힌 흔적이나, 선상으로 지나간 흔적이 많이 보이면 약제방제 적기이다.
유충이 신초의 어린잎만을 가해하며 피해 받은 어린 잎은 처음에는 적갈색 선상의 피해가 나타나지만 점차 반점모양으로 불규칙한 원형 또는 얼룩무늬 모양을 이루거나, 넓고 크게 잎의 표면이 연하게 쭈글어 들면서 말라 들어간다.
천적에는 고치벌류 1종이 있다.
살충제 절감 예찰방제원에서는 기생율이 60%로 높으므로 천적에 저독성인 약제를 살포하면, 천적에 의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전년도 가을에 발생이 많고 개화기 전 또는 낙화 후 성충이 자주 눈에 띄면 제 1, 2세대 유충이 가해하기 직전인 개화 전 4월 중순경이나 낙화 후 5월 하순 중에서 1회 정도는 진딧물 또는 잎말이나방과 동시방제 되는 등록약제를 선정하며 약제를 살포할 수 있다. 특히 이 시기는 온도가 높지 않아서 어린 유충의 발육이 그리 빠르지 않고 령기 구성도 비교적 단순하므로 방제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 3세대 이후는 가해부위가 신초의 선단부 잎에만 국한되므로 추가약제를 살포하기 보다는 심식나방 등과 동시방제 한다.새로 자라는 신초선단의 일부 잎만을 가해하므로 수세를 안정시켜서 신초신장을 일찍 멈추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8~9월의 후기 피해 방지를 위하여 2차 생장을 적게 하며, 도장지와 지제부의 대목에서 나오는 순 발생을 막거나 제거한다.측지를 받아야 하는 유목 사과원에서는 최근 개발된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발생 예찰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출처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