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벼알마름병
세균벼알마름병 발병환경 - 병에 걸린 잎이나 이삭에서 월동하여 익년에 전염 - 종자 상태에서부터 출수기까지 전염이 가능 - 직파 및 어린모 재배 시 발생이 많으며 강우 일수가 많은 해에 다발생 - 못자리에서의 발병은 병에 감염된 종자를 중심으로 고온에서 다발생 피해증상 - 병든 벼알의 배젖은 일찍 건조하여 말라죽고, 중앙에 갈색띠가 생김 - 유숙기에 병징이 뚜렷하며 건전한 벼알은 녹색, 병든 벼알은 홍색 - 유묘 : 엽초가 갈변, 엽신이 꼬이는 기형이 되거나 황백색 ~ 담갈색으로 변색 - 유묘 : 심하면 묘 전체가 황갈색으로 말라죽음 방제법 - 종자소독 철저 - 매년 발생 포장 :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방제약제 살포 - 적용약제 살포 적용약제 일취월장(수) 출처 : 작물별 병해충 도감/방제정보&논,밭 잡초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