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깜부기병
병원체
Ustilago shiraiana Henn.
기주
대나무류(왕대, 맹종죽, 솜대, 마디대, 대반참대, 조릿대 등)
진단특성
깜부기병은 농작물에서는 큰 피해를 주는 중요한 병이지만 임목에서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병든 부분에서는 무색 가루가 다량으로 묻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깜부기병균의 후막포자로서 5~6월경부터 어린 신초에 발생하며 나중에 신초가 전개됨에 따라 암적갈색을 띤
가루모양의 포자덩이를 형성한다.
피해가지는 가끔 빗자루 모양으로 되기도 하며 주로 어린 나무에서의 피해가 크다.
생태특성
깜부기균의 포자는 포자의 형성과정으로 보면 일종의 후막포자이다.
이 후막포자가 발아하면 전균사라고 부르는 담자기를 형성하고 그 위에 담자포자에 해당하는 소생자를 형성한다.
포자는 둥글며 막은 갈색으로 평활하며 크기는 6~10㎛이다.
방제방법
- 발병하지 않은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고, 질소비료나 유기질비료의 과용을피한다 특히 질소질 비료를 늦게 시용하는 경우 발병을 조장하므로 주의합니다..
- 발병한 이삭은 즉시 제거하고, 소각하거나 매립하세요. 발병이 심한 과원에서는 봄철 발아 직전에 석회유황합제 5도액을 살포하고, 장마가 끝난 후부터 9월까지 3~4회 적용약제를 살포합니다.
- 적용약제로는 카바릴 50% WP, 카르벤다짐 50% WP, 티오파네이트메틸 70% WP 등이 있다. 약제는 사용설명서에 따라 희석하고, 방제시기와 횟수를 잘 지켜야합니다.
이미지 및 일부내용 출처 : https://xn--910b64ro9aq6u.kr/boardPost/110214/13
느티나무갈색무늬병 (0) | 2023.09.23 |
---|---|
담쟁이덩굴 둥근무늬병 (0) | 2023.09.23 |
메타세쿼이아잎마름병 (0) | 2023.09.22 |
붉은별무늬병 (0) | 2023.09.20 |
오동나무빗자루병 (0) | 2023.09.20 |